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Visualization] 시각화 유형화 사례 기반 Jay's Viz 유형
    Data Visualization/Visualization 2020. 8. 13. 23:09
    반응형

    Table of Contents

    1. Introduction

    2. 시각화 유형화 사례

    3. Jay Viz Taxonomy(시각화 분류 체계)

    4. Reference

     

    Introduction

     Self-service Business Intelligence(Self BI)는 오늘날 비즈니스 의사 결정을 하는데 핵심 도구로 자리 잡고 있으며, 태블로(Salesforce의 Tableau), 클릭(Qlik의 Qlik Sense), 스팟파이어(TIBCO의 Spotfire), 파워 BI(Microsoft의 Power BI) 등 다양한 툴이 등장해왔고, 현재까지도 경쟁하고 있다. Self BI툴은 특히, 다양한 데이터베이스와 인터페이스 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는데 유리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더욱이, 솔루션 내부에 간단하게 제공하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R과 Python은 연동하여 분석 결과를 통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Salesforce의 Tableau Microsoft의 Power BI NEWSJELLY의 DAISY

     

    시각화 유형화 사례

     <그림 1>은 영국의 파이넨셜 타임즈(Financial Times)의 Visual Vocabulary로 파이넨셜 타임즈의 시각저널팀(Visual Journalism Team)에 의해 제안된 시각화 유형과 프리랜서 디자이너 Severino Ribecca의 The Data Visualisation Catalogue이다. 목적이나 기능에 따라 그래프를 정리한 형태이다.

    <그림 1> Financial Times Visual-Vocabulary(좌)와 Severino Ribecca의 The Data Visaulisation Catalogue(우)

     

     <그림 2>는 Severino Ribecca가 실제 그래프의 목적과 기능을 상세 설명한 내용으로 기능별로 분류하기도 하고 목적별로 분류하여 효과적으로 대시보드 구성을 가능하도록 정리하였다. 물론, 각각의 독립된 그래프 표현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조합 방법이 필요하다.

    <그림 2> Severino Ribecca의 그래프 상세 정리 항목

     

    Jay Viz Taxonomy(시각화 분류 체계)

      앞선 시각화 유형화 사례에 따르면, 목적과 기능에 따라 정리하고 있다. 우리는 태블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시각화와 태블로에서 제공하는 시각화는 아니지만 표현 가능한 형태를 정리하고자 한다. 2020년 8월 13일 기준으로 태블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막대 그래프와 선 그래프를 작성하는 방법을 Data Visualization/Tableau에 공유하였으며, 기본적인 표현 방식과 부가적인 표현 방식을 공유하는 것이 목표이다. Jay Viz Taxonomy(시각화 분류 체계)가 완성 된다면, 태블로 기반의 시각화 분류 체계를 제시 할 수 있다. 또한, BI 프로젝트 도입이 확대됨에 따라 활용 방안과 가치 제고를 기대 할 수 있다.

    <그림 3> Jay Viz Taxonomy

     

    Reference

    Tableau, "Tableau", www.tableau.com/ko-kr

    Microsoft, "Power BI", powerbi.microsoft.com/ko-kr/

    NEWSJELLY, "DAISY", newsjel.ly/solutions/daisy

    Financial Times(UK), "visual-vocabulary", https://github.com/ft-interactive/chart-doctor/tree/master/visual-vocabulary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